티스토리 뷰
JS는 이미 html과 연결되어있다. 콘솔창에 document라고 치면 html 속성들을 불러올 수 있음
innerHTML vs innerText
element.innerText;
이 속성은 element 안의 text 값들만을 가져옵니다.
element.innerHTML;
innerText와는 달리 innerHTML은 element 안의 HTML이나 XML을 가져옵니다.
element.innerText = "<div style='color:red'>A</div>";
element.innerText에 html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하면,
html코드가 문자열 그대로 element안에 포함됩니다.
element.innerHTML = "<div style='color:red'>A</div>";
위와 같이 element.innerHTML 속성에 html코드를 입력하면,
html element가 element안에 포함되게 됩니다.
위 예제에서 'innerHTML()'을 클릭하면,
입력된 html태그가 해석되어 빨간색A 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발공부 > 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현재시간 불러오기 (0) | 2023.06.22 |
---|---|
[JS] localstorage에 item 생성, 삭제, 조회 (0) | 2023.06.21 |
[JS] e.preventDefault() 란?? (0) | 2023.06.21 |
[JS] classList의 toggle (0) | 2023.06.21 |
[JS] 함수에 console.log 대신 return 쓰는 이유? (0) | 2023.06.2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var
- Let
- 교착상태
- getCurrentPosition
- 호이스팅
- setitem
- localStorage
- new Date()
- console.log
- const
- 깊은복사
- createElement
- 스코프
- 브라우저 저장소
- useState
- Return
- removeitem
- Navigator
- 데드락
- react
- classList
- getitem
- innerText
- setTimeout
- setinterval
- padStart
- Geolocation
- Hook
- e.preventDefault()
- 얕은복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