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SR (Client Side Rendering) 말그대로 렌더링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일어난다. 즉, 서버는 요청을 받으면 클라이언트에게 HTML과 JS를 보내준다. 클라이언트는 그것을 받아 렌더링을 시작한다. User가 Website 요청을 보낸다 CDN이 HTML 파일과 JS로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CDN : aws의 cloudflare를 생각하면 된다. 엔드 유저의 요청에 물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 클라이언트는 HTML과 JS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SSR과 달리 유저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 생략 다운이 완료된 JS가 실행된다. 데이터를 위한 API가 호출된다. (이때 유저들은 placeholder를 보게된다.) 서버가 API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한..
require vs import (CommonJs와 ES6) 기본적으로 require와 import는 모듈 키워드이다. 외부 파일이나 라이브러리를 불러올때 사용한다. require는 Node.js에서 사용되고 있는 CommonJS키워드이고, import는 ES2015에서 새롭게 도입된 키워드이다. 둘다 다른 파일의 코드를 불러온다는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문법 구조를 지니고 있다. const html = require("html"); import test from "test.js"; require / exports (Common JS) require는 Common JS 키워드로 (Node.js)변수를 할당하듯 모듈을 불러오는 것이 특징이다. 모듈 전체 내보내고 가져오기 module.export..

이벤트 버블링(Event Bubbling) 이벤트 버블링이란 한 요소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요소에 할당된 핸들러가 동작하고, 이어서 부모 요소의 핸들러가 동작하고 최상단의 부모 요소를 만날때까지 반복되면서 핸들러가 동작하는 현상을 말한다. 버블링 예제코드 DIV1 DIV2 DIV3 const divs = document.querySelectorAll("div"); const clickEvent = (e) => { console.log(e.currentTarget.className); }; divs.forEach((div) => { div.addEventListener("click", clickEvent, false); // false 생략가능하다. }); div를 클릭하면 해당하는 클래스의 이름이 콘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를 만들고 그 객체들 간의 유기적인 상호작요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장점 코드 재사용이 용이 남이 만든 클래스를 가져와서 이용 가능, 상속을 통해 확장해서 사용 가능 유지보수가 쉽다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를 수정해야할 때 일일이 찾아 수정해야하는 반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수정해야 할 부분이 클래스 내부에 멤버 변수 혹은 메서드로 존재하기 떄문에 해당 부분만 수정하면 된다.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 클래스 단위로 모듈화 시켜서 개발할 수 있으므로 대형 프로젝트를 개발할때 업무 ..
forEach for문을 대체할 수 있는 함수,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고 각 요소에 콜백 함수를 실행시킨다. 즉, 자신을 호출한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면서 인수로 전달받은 콜백 함수를 반복 호출한다. 단, 아무 값도 반환하지 않는다. 문법 const arr = [1, 2, 3, 4, 5, 6]; const arr2 = arr.forEach((currentElement, index, array) => { console.log(`요소: ${currentElement}`); // 배열의 요소가 순서대로 출력된다 1, 2, 3, 4, 5, 6 console.log(`index: ${index}`); // 0, 1, 2, 3, 4, 5 순서대로 출력 console.log(array) // [1, 2, 3, 4,..
CORS(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웹 개발자라면 한번쯤은 CORS와 관련하여 콘솔에 뜨는 빨간 글씨의 에러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CORS 정책이 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브라우저의 보안과 관련하여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Origin(출처) 란? 이는 URL, 도메인 등과 비슷해 보이지만 엄연히 의미가 다르다. Origin은 url에서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 번호를 합친 부분을 의미한다. ex) URL : https://naver.com:80/posts/123456?data=789#abc 여기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부분은 https:// 이고, 도메인에 해당하는 부분은naver.com이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부분은 :80이다. 따라서 Ori..
SPA(Single Page Application) 한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MPA(Multi Page Application) 여러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MPA vs SPA MPA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정적 리소스가 다운로드 되고, 그에 맞춰 전체 페이지를 다시 렌더링한다. 인터넷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는 등 사용자가 어떤 요청을 하면, 그에 맞는 html, 이미지 등의 파일들이 전부 다운로드 되고 다시 렌더링 된다. SPA 웹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모든 정적 리소스를 최초 한번에 다운로드 한다. 그 이후 새로운 페이지 요청이 있을 경우, 페이지 갱신에 필요한 데이터만 전달받아 페이지를 갱신한다. 어떤 링크를 클릭한다고 해서 그에 관련된 모든 파일을 다운..

웹 프로토콜 웹에서 쓰이는 통신규약으로, 통신규약이란 통신을 할때 "내가 이렇게 할게 너는 이렇게 해줘" 라고 약속하는 것이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프로토콜이다. 즉,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규약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HTTP Method (HTTP request가 의도하는 action을 정의한 것) GET : 문서를 요청,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상태 정보와 복제된 문서를 보냄으로 응답을 함.(조회) POST :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특정 아이템에 덧붙임(생성) PUT :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 서버가 특정 아이템을 완전히 대체한다(수정) DELETE : 데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new Date()
- getCurrentPosition
- Return
- setinterval
- console.log
- useState
- var
- localStorage
- setitem
- Let
- getitem
- padStart
- 교착상태
- 얕은복사
- removeitem
- Geolocation
- createElement
- e.preventDefault()
- 데드락
- 스코프
- const
- innerText
- react
- Hook
- setTimeout
- 브라우저 저장소
- 호이스팅
- Navigator
- 깊은복사
- classLis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